레이강의 일상

유가 100달러 깨졌다, 영향은? 본문

생활의 팁 & 재테크 관련 이야기

유가 100달러 깨졌다, 영향은?

naray 2022. 7. 7. 12:26
반응형

드디어 깨진 100달러
유가 하락, 어떤 영향 있을까?


'경기침체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공포에 끝없이 올라가던 국제유가가 어제 새벽 급락했습니다.

뉴욕 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이하 WTI로 통일)는 전날 108.43달러에서 8.2%(8.93달러) 떨어진 99.50달러에 거래됐습니다.

배럴당 WTI 가격이 1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5월 이후 거의 두 달 만인데요.

하늘 높은지 모르고 치솟던 유가, 왜 떨어진 걸까요?

🔎 경기침체로 에너지 수요도 위축되지 않을까?

유가가 올라간 것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수요공급 이슈 때문이 컸습니다. 하지만 40년 만에 최악으로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이 공격적으로 금리인상에 나서자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에너지 수요가 줄 것이라는 우려가 시장에 확산된 것입니다.

WTI 가격만 떨어진 것이 아니라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거의 10% 떨어져서 102.70달러로 장을 마쳤습니다.

미국 휘발유 값도 사상 처음 5달러 이상 돌파했었는데요. 최근 갤런당 4.80달러로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유가가 내려가면서 여행 및 항공주들은 상승했으며, 정유주는 소폭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시티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침체에 빠질 경우 브렌트유가 올 연말 배럴당 65달러까지 미끄러질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국제유가는 더 떨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금속 비롯한 원자재, 곡물 가격도 하락 중

원유뿐만 아니라 금속을 비롯한 주요 원자재와 곡물의 가격도 대부분 하락했습니다. (블룸버그 원자재 지수는 4.5% 하락)

미국 달러화 가치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서 달러 기반으로 거래하는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것인데요. 달러 인덱스*는 106을 돌파하면서 2002년 11월 이후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달러화 가치가 오르고 달러로 거래되는 원자재 가격이 비싸지면서 수요가 위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 달러 인덱스’란?
세계 주요 6개국의 통화에 대비한 달러화의 평균 가치를 표시하는 지표.

세계 주요 6개국 통화는 유로(유럽연합), 엔(일본), 파운드(영국), 달러(미국), 크로네(노르웨이), 프랑(스위스)을 말함

원자재 중 여러 산업에 널리 쓰여 ‘닥터 코퍼(Dr. Kopper)’라 불리며 경기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구리’는 런던 금속거래소(LME)에서 선물 가격이 장중 5.1% 하락한 톤당 7,597달러를 기록해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원자재와 곡물값 하락이 인플레이션 상승에 영향을 미쳐 물가가 안정화되는 것에 도움이 되면 참 좋을 텐데요. 기대와 달리 곳곳에 경기침체 우려가 터지고 있죠.

🔎 미국 채권시장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
경기침체 신호?

경기침체의 신호로 해석되는 미국의 장기와 단기 국채금리도 역전되었습니다. 단기 2년 물 국채 금리가 장기 10년 물 국채 금리보다 잠시 높아졌는데요. (2년 물 국채금리가 2.792%, 10년 물 국채금리가 2.789%로 0.003% p 더 높게 거래) 이 같은 역전 현상은 올해 벌써 세 번째 나타난 것이라고 합니다.

장기물은 단기물보다 원래는 높은 금리에서 거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 단기물의 금리가 더 높아집니다.

특히 10년 물과 2년 물의 금리 역전은 1~2년 내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게 볼 수밖에 없는 신호라고 하는데요. 이는 최근 전문가들이 경기침체로 예상하는 시기와 비슷합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전망에 따르면 미국 경기가 12개월 내 침체될 확률을 38%로 상향되었습니다. 경기침체의 우려는 지속적으로 커져만 가고 있는데요. 경기침체가 오면 인플레이션은 둔화되지만 시장 상황은 최악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습니다.

안 오르는 게 없던 요즘. 그나마 유가라도 안정되려나 싶은데요. 유가도, 물가도, 세계 경기도 하루빨리 안정을 되찾고 경기 침체를 피해 갈 수 있길 바라봅니다.
by 머니톡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