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강의 일상

물가와 금리의 관계 쉽게 이해하기 본문

생활의 팁 & 재테크 관련 이야기

물가와 금리의 관계 쉽게 이해하기

naray 2022. 6. 25. 19:57
반응형


물가, 너무 오르는 거 아냐?
최근 발표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8.6%나 급등하며 41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어요. 뉴스에서도 연일 급등하는 물가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요. 오늘 상식 한입에서는 물가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해요.
물가가 오르면 기준금리를 올리는 이유

물가와 기준금리의 관계


기준금리가 오르면, 물가는 내려간다


기준금리와 물가의 관계는 위와 같은 공식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간단하게 설명해볼게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이 줄어들어요. 돈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은 곧 사람들이 돈을 많이 쓸 수 없다는 뜻이고, 이렇게 수요가 줄어들면 물가는 내려가게 돼요.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이어가 볼게요.

기준금리가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기준금리는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조절해서 물가에 영향을 줘요. 즉, 기준금리와 물가의 관계를 이해하려면, 기준금리가 어떻게 시중에 풀린 돈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해야 하죠. 기준금리가 오르면 어떻게 되는지, 4가지 경우를 따져볼게요.

1. 금리 경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은행들의 예금금리, 대출금리도 덩달아 올라요. 예금금리가 오르면 돈을 저축해두려는 사람이 늘어나고, 대출금리가 오르면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줄어들겠죠? 따라서 자연스럽게 시중에 풀린 돈은 줄어들게 돼요.

2. 자산 경로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생각해볼게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에 예금을 했을 때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반대로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의 매력도는 떨어지죠. 이렇게 주가가 낮아지면, 주식에 투자했던 사람의 재산이 줄어들면서 소비가 줄어들게 돼요.

3. 환율 경로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보다 금리가 낮은 나라의 투자자들은 우리나라 은행에 돈을 맡기려고 해요. 그럼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외화가 많이 유입되겠죠? 결국 환율이 내려가요. 환율이 내려가면 1,300원에 사야 했던 1달러짜리 물건을 1,100원에 살 수 있어요. 수입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죠.

4. 신용 경로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은행의 대출금리도 올라간다고 했죠? 그러면 은행들은 돈을 빌려줄 때 사람들의 신용을 더 엄격하게 따져요. 내야 할 이자가 많으니, 이 사람이 돈을 제대로 갚을 수 있을지 더 꼼꼼하게 따져봐야 하니까요. 사람들이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니, 자연스럽게 시중에 풀린 돈이 줄어들고 물가가 하락하게 돼요.

이렇듯 기준금리가 오르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시중에 풀린 돈이 줄어들고, 사람들의 소비도 감소해요. 그렇게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죠. 지난 5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역대급 물가 상승이 있었는데요. 미국을 포함한 각국의 중앙은행이 물가 인상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과감하게 올리고 있는 이유, 이제 이해되시죠?

by. BYTE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