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강의 일상
물가지수 이해하기 본문
![](https://blog.kakaocdn.net/dn/dkNKxH/btrFKGngXlt/ZkHC48lHi0kxDRECCHke4K/img.jpg)
다양한 물가지수 알아보기
소비자물가지수
:우리가 자주 사는 물건들
소비자물가지수(CPI)에는 우리가 평소 자주 소비하는 대표적인 상품들이 포함돼요. 현재 식료품, 주류, 의류, 교통 등 12개 분야에서 총 458개의 대표 상품을 골라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하고 있다고 해요. 소비자물가지수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비 지출에서 각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가중치를 반영해 계산돼요.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며, 매월 약 40개 도시에서 각 상품의 가격을 조사해 계산해요. 현재 2020년을 기준연도로 삼고 있고요.
보통 뉴스에 나오는 물가는 대부분 소비자물가지수를 의미해요. 우리가 자주 구매하는 상품을 모아서 만든 물가지수이기 때문에,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물가지수이죠. 우리나라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을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4% 상승했어요.
생산자물가지수
: 기업이 자주 사는 물건들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들이 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물가지수예요. 생산자물가지수에는 펄프, 구리, 석유 등 기업이 생산활동을 위해 구매하는 867개의 상품이 포함되죠. 기업의 사업 분야가 다양한 만큼,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고려하는 상품 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랍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보다 1달 정도 더 빠르게 움직인다고 해요. 생산자물가지수가 올랐다는 건, 기업들이 생산을 위해 구입하는 원자재 가격이 올랐다는 뜻이겠죠? 비용이 올랐으니 기업들은 상품 가격을 올릴 것이고, 상품이 비싸지니까 소비자물가지수도 뒤따라 오르게 돼요.
생산자물가지수는 2015년을 기준연도로 삼고 있으며, 한국은행이 발표해요.
근원물가지수
: 전체적인 경제 흐름을 담다
근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 산출 품목에서 농산물이나 석유 같이 가격 변동이 심한 상품을 제외하고 계산한 물가지수예요. 농산물의 경우 태풍이 자주 왔거나, 우크라이나 전쟁처럼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할 때, 경제 상황과는 무관하게 가격이 요동치곤 하죠. 석유 역시 산유국의 정치적인 상황 등이 가격에 크게 영향을 주고요. 이렇게 경제 외적인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 농산물과 석유가 포함된 소비자물가지수를 봐서는 경제 상황을 제대로 읽어내기 힘들겠죠?
우리나라는 농산물과 석유 그리고 전기료 같은 에너지 품목까지 제외해 근원물가지수를 계산하고 있어요. 근원물가지수를 보면 경제 흐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근원물가지수는 정부 부처에서 경제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해요.
by. BYTE
'생활의 팁 & 재테크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 왜 오르나 (2) | 2022.06.27 |
---|---|
6/27 오늘의 경제 뉴스 (0) | 2022.06.27 |
물가와 금리의 관계 쉽게 이해하기 (0) | 2022.06.25 |
[앱테크] LG Thin Q 앱에서 Q 리워드 모아서 간식 사 먹자 (추천 코드 GUUYLV) (0) | 2022.06.25 |
6/25 오늘의 경제 뉴스 (0) | 202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