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강의 일상

2023년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모아보기 2차전지, 반도체 그 다음은 본문

생활의 팁 & 재테크 관련 이야기

2023년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모아보기 2차전지, 반도체 그 다음은

naray 2023. 6. 9. 11:36
반응형

2023년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모아 보기

2차 전지, 반도체 그다음은...?
최근 주식 시장은 2차 전지 그리고 AI, 반도체 관련주로 연일 들썩이고 있는데요. 공모주 시장 역시 이런 흐름을 따라 관련 산업을 영위하는 강소기업의 출사표가 이어지고 있어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는 기대감에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있는 요즘. 이런 흐름이 공모주 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까요?

들어가기 전에 💡
- 이 글은 공모주 청약 일정과 기본 청약 정보만을 전달합니다. 투자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 및 가치를 파악해 신중하게 결정해 주세요.
- 상장 예정 기업의 상황에 따라 공모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


출처 카카오뱅크


6월 공모주 청약 일정은?


필에너지
[청약 일정 : 6월 19~20일]
- 주간사 :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 희망 공모가액 : 26,300~30,000원
필에너지는 2차 전지 조립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이에요. 독자적인 레이저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레이저 노칠 장비를 양산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해요.

알멕
[청약 일정 : 6월 20~21일]
- 주간사 : NH투자증권
- 희망 공모가액 : 40,000~45,000원
알멕은 알루미늄 소재 및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에요. 전기차용 압출 배터리 케이스 등 전기차 관련 제품을 판매하며 2차 전지 관련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파로스아이바이오
[청약 일정 : 6월 20~21일]
- 주간사 : 한국투자증권
- 희망 공모가액 : 14,000~18,000원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이에요. 자체 AI 플랫폼을 활용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흑색종 등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어요.

시큐센
[청약 일정 : 6월 20~21일]
- 주간사 : 신한투자증권
- 희망 공모가액 : 2,000~2,400원
시큐센은 디지털금융서비스, 보안 솔루션, 생체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에요. 국내 주요 금융, 보험, 공공기관에 생체인증 및 전자서명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어요.

오픈놀
[청약 일정 : 6월 21~22일]
- 주간사 : 하나증권
- 희망 공모가액 : 11,000~13,500원
오픈놀은 커리어&채용플랫폼인 ‘미니인턴'을 운영하는 기업이에요. 기업과 구직자를 매칭시켜 주고 및 교육 콘텐츠 등을 제공하고 있어요.

에이엘티
[청약 일정 : 6월 26~27일]
- 주간사 : 미래에셋증권
- 희망 공모가액 : 16,700~20,500원
에이엘티는 반도체 후공정을 전문으로 다루는 기업이에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소자를 주로 제조하며 시스템 반도체 웨이퍼 테스트 사업을 주로 운영하고 있어요.

버넥트
[청약 일정 : 6월 26~27일]
- 주간사 : 대신증권
- 희망 공모가액 : 11,500~13,600원
버넥트는 산업용 확장현실(XR)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업이에요. 산업현장에서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XR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어요.

이노시뮬레이션
[청약 일정 : 6월 27~28일]
- 주간사 : 하나증권
- 희망 공모가액 : 13,000~15,000원
이노시뮬레이션은 스마트 모빌리티 XR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에요. 디지털 트윈 기반의 XR 시뮬레이션 핵심 기술을 통해 증강현실 솔루션을 개발하고 가상훈련시스템 등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어요

공모주 청약, 이것만은 알아두세요

아무리 시장의 기대치가 높은 공모주라도 신중하게 판단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해당 기업의 영업 실적과 성장세를 살피는 것은 기본! 추가로 기관의 수요예측 결과를 보는 것도 중요해요.

수요예측은 기관투자자들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공모가를 제시하는 것인데요. 이를 바탕으로 공모가가 정해지기 때문에 수요예측 결과 중 아래 지표를 유심히 봐야 해요.
1) 경쟁률
한 주의 공모주를 받기 위해 얼마나 많은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는지를 보여줘요. 경쟁률이 높다면 그만큼 투자자의 수요가 많은 공모주라고 볼 수 있겠죠? 최근 상장한 공모주들의 경쟁률과 비교해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의무보유 확약비율
기관투자자 중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주식을 의무적으로 팔지 않고 갖고 있겠다고 약속한 비율을 뜻해요. 이 비율이 높다면, 많은 투자자가 이 주식이 장기적으로도 좋게 흘러갈 것이라 봤다는 뜻이에요.
3) 신청가격 분포
결정된 공모가가 적절한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예요. 결정된 공모가를 기준으로...
- 주로 공모가 이하에 신청가격이 분포해 있다면? → 공모가가 높게 결정된 것
- 주로 공모가 이상에 신청가격이 분포해 있다면? → 공모가가 낮게 결정된 것

*카카오뱅크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투자와 선택은 본인의 책임이겠죠

반응형
Comments